베트남진출 한국기업 현황

카카오톡이 베트남에 진출한적이 있단걸 아시나요?

Tony Han 2023. 1. 7. 02:25

 

2010년 당시 카카오톡이 한국 모바일 메신저 시장을 선점하기 시작하면서 카카오 제국을 건설하기 시작할 무렵, 카카오는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일본, 중국, 싱가포르 및 베트남에 법인을 세우고 현지 시장 공략을 시작하였는데요. 베트남 시장에서는 2013년 당시 점유율 1위를 달성하기도 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베트남 시장에 진출한 한국기업으로는 네이버의 라인도 있었죠.

 

지금은 상상도 할 수 없지만 한국 모바일 메신저 기업이 베트남에서 시장 1~2위를 다투던 시절이 2013년도였습니다. 2023년 현재 카카오는 철수하였고 라인은 개발센터가 남아있습니다. 2019년에 카카오가 그랩과 손을 잡고 카카오 T를 출시한다는 기사는 있지만 서비스화 되진 않은 거 같아요.

 

하지만 베트남 IT 기업인 VNG의 메신저 잘로(Zalo)가 시장에 나오면서 이 둘은 시장에서 밀려나기 시작하였습니다. VNG는 2004년에 설립된 베트남 첫 온라인 게임 퍼블리싱 회사로 아직까지도 베트남 내에서는 선두를 지키고 있습니다.

 

게임으로 돈을 한창 잘 벌고 있던 당시 현지 메신저앱인 잘로를 2012년 8월에 정식 출시되었고 2년 후인 2014년도에는 베트남에서 사용자가 천만명을 돌파했습니다. (2015년 5천만 명, 2018년 7천만 명 돌파) 그 후 카카오톡과 라인은 선발주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게 경쟁에서 밀려났습니다. 당시 2014년 카카오톡의 베트남 현황 기사는 여기서 확인해주세요.

 

VNG의 베트남 국민 메신저앱 Zalo 아이콘

 

카카오톡과 라인이 베트남 현지 시장에서 실패한 이유는 '현지 사정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국내 메신저 업체들이 베트남에 진출했을 당시 국내에서는 이미 4G 망이 구축된 상태였고 스마트폰의 기능 개선도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었죠.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게 카카오톡이 경쟁에서 밀린 이유가 돼버렸습니다. 카카오톡이 기능, 성능, UI/UX에서는 잘로를 앞섰지만 베트남에서는 데이터 소마량이 어마어마한 무거운 메신저였던 거죠. 당시 베트남 당국 관계자들 앞에서 시연을 할 때 카카오톡, 라인이 잘로에 비해 너무 느려 관계자들이 실망했다는 현지의 카더라도 있습니다. 잘로는 현지 업체였던 만큼 기능은 단순하였을지 모르지만 품질이 낮은 이동통신 환경에서도 메시지 전달이 수월하게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베트남 기업이었던 만큼 베트남 현지인들 특성에 맞춰 '보이스 메시지'를 전면에 배치하며 마케팅을 대대적으로 했었습니다. 한국에서는 흔치 않지만 베트남에서는 텍스트나 사진 대신 보이스 메신저로 문자를 주고받는 사람들이 지금도 많이  있습니다. 

 

중국은 4 성조지만 베트남은 6 성조 이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성조를 안 쓰고 문자를 보내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제 베트남 지인들도 일일이 성조를 치기 귀찮아하는 친구들이 몇몇 있습니다.

 

현재 2023년, 베트남에서 1위의 자리를 페이스북 메신저(모바일 사용자 대비 사용률 47%)에게 내주긴 했습니다. (잘로는 45%)  카카오톡이 지금 한국에서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는 것처럼 잘로 또한 비즈니스 패키지, 잘로페이 등등 수많은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지만 생각보다 흑자로의 전환이 쉬워 보이진 않습니다.

 

당연히 UI 측면에서나 편리함, 활용도 면에서는 카카오톡이 잘로보다 월등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저희가 얻어야 하는 교훈은 아무리 기술적으로나 기능적으로나 뛰어난 상품이 있더라도 현지사정을 고려하는 것이 우선순위라는 교훈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추가(Jan/08/2023)

위에서 카카오 T와 그랩(Grab)이 손잡고 서비스를 하고 있지 않다고 말씀드렸으나.. 이미 서비스 중이라고 하네요! 정보 주신 김민기 님 감사합니다. 

 

별도의 어플이 있는 것이 아닌 카카오 T 어플에서 여행탭 -> 차량 호출 기능이 그랩이라고 합니다. 

 

이 기능은 별도의 그랩 UI를 불러오는 것이 아닌 그랩의 바이크 4, 7 인승 차량 호출 기능이 카카오와 백 단으로 연동되는 것으로 한국에 등록한 카드 혹은 휴대폰 소액 결제로 원화 결제 된다고 합니다. 

 

추가로 Grab Chat과 연동하여 카카오 T에서 한글로 채팅을 보내게 되면 그랩 기사의 핸드폰에 자동으로 베트남어 번역이 되어 출력된다고 하네요.

 

 

 

 

반응형